
박영민
교수
- 전공 국어교육과
- 학위 박사
- 전화번호 043-230-3547
- 이메일 enrapture@knue.ac.kr
경력
-
2013.03. 한국작문학회, 부회장 및 편집위원장
-
2009.01. ~ 2013.12. : 한국독서학회 , (독서지도전문가) 자격관리이사
-
2008.03. ~ 2012.02. : 국어교육학회 , 편집위원
-
2003.09. 한국교원대학교 , 교수
-
2003.05. ~ 2013.12. : 한국국어교육학회 , 평이사, 연구윤리위원
-
2003.03. ~ 2003.08. :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, 겸임 전임 강사
-
2000.03. ~ 2003.02. :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학과 , 강사
-
1996.03. ~ 1998.02. : 경기 성남여자고등학교 , 교사
-
1993.09. ~ 1996.02. : 경기 여주여자종합고등학교(현재 세종고등학교로 개명) , 교사
학력
-
2003.02. : 한국교원대학교 , 박사 (대한민국)
-
2000.02. : 한국교원대학교 , 석사 (대한민국)
-
1991.02. : 한국교원대학교 , 학사 (대한민국)
연구
- 국어 교육과정 : 국어과 교육과정 연구 및 개발
- 국어 교과서 : 중학교 국어교과서,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연구 및 개발
- 작문교육 : 작문 과정 분석, 작문 평가 방법 연구 개발
- 독서교육 : Eye Tracker를 활용한 독서 과정 연구
논문
-
2016.03. : 전사 방식에 따른 쓰기 평가자의 베타파와 감마파의 차이 분석 (2인 공동. 교신저자) (국어교육학연구 51(1). 국어교육학회.)
-
2016.03. : 2015 국어과 교육과정 작문 영역의 쟁점과 과제 (국어교육학연구 51(1). 국어교육학회.)
-
2015.12. : 인성 교육 실현을 위한 작문 교육의 실천적 방법 (작문연구 27. 한국작문학회.)
-
2015.12. : 채점 수 누적에 따른 쓰기 평가 과정의 눈동자 움직임 연구 (2인 공동. 교시저자) (국어교육학연구 50(4). 국어교육학회.)
-
2015.11. : 설명문 읽기에서 나타나는 뇌파의 특성 분석 (2인 공동, 교신저자) (독서연구 37. 한국독서학회.)
-
2015.08. : 공감화 쓰기 과제에 대한 남학생과 여학생의 쓰기 수행의 차이 (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(8).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.)
-
2015.06. : 언어 기능 영역의 연수(비등재 일반학술지) (국어교과교육연구 26. 국어교과교육학회.)
-
2015.05. : 눈동자 추적과 회상적 사고구술을 적용한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설명문 제재 난도 측정 (한국연구재단지원) (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(5).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.)
-
2015.03. : 치유적 글쓰기를 활용한 국어교육 방안 (청람어문교육 53. 청람어문교육학회.)
-
2015.02. : 화법, 독서, 작문 영역의 통합 (국어교육 148. 한국어교육학회.)
-
2014.12. : Comparisons of inservice and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writing assessm (국어교육학연구 49(4). 국어교육학회)
-
2014.09. : 국어교사의 쓰기평가 태도에 대한 조사 연구 (작문연구 22. 한국작문학회.)
-
2014.09. : 쓰기 과제 조건 부합 여부에 따른 평가 결과 차이 분석 (2인 공동. 교신저자) (작문연구 22. 한국작문학회)
-
2014.09. : 중학교 통합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방안 (청람어문교육 51. 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4.06. :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생 논설문의 성취기준 예시문 선정 연구 (2인 공동. 교신저자) (작문연구 21. 한국작문학회)
-
2014.06. : 손글씨 설명문과 워드 설명문의 평가 과정에서 나타나는 국어교사 눈동자 움직임의 차이 (국어교육학연구 49(2). 국어교육학회 )
-
2014.03. : 미래 핵심역량과 중등 작문교육 (작문연구 20. 한국작문학회)
-
2014.03. : 스마트 교육환경에 따른 쓰기 지도 방법의 전환 (국어교육학연구 49(1). 국어교육학회)
-
2014.03. : 국어과 중등 임용시험의 비판적 분석과 개선 방안 (청람어문교육 49. 청람어문교육학회 )
-
2013.12. : 눈동차 추적 및 반성적 사고구술을 활용한 학업성취수준별 국어교과서 읽기 방식의 차이 분석 (청람어문교육 48. 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3.11. : 쓰기 중요도, 선호, 난도, 습관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분석 (2인 공동. 교신저자) (교육과정평가연구 16(3). 한국교육과정평가원)
-
2013.11. :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지식의 차이 분석 (작문연구 19. 한국작문학회)
-
2013.10. : 국어교사 효능감의 성별 및 경력별 차이의 변화 분석(2인 공동. 교신저자) (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(5).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)
-
2013.07. : 눈동자 움직임 분석과 작문교육 연구 (작문연구 18. 한국작문학회)
-
2013.03. : 국어교사 쓰기지도 효능감의 구성요인과 경력 및 성별에 따른 수준 차이 분석 (2인 공동. 교신저자) (새국어교육 94. 한국국어교육학회)
-
2013.03. : 국어교사의 쓰기 지도 인식 및 쓰기 지도 유형별 활용 빈도 검사 도구 타당화 연구 (2인공동. 교신저자) (작문연구 17. 한국작문학회)
-
2012.12. : 쓰기 평가 지식 측정을 위한 검사 도구 개발 연구 (청람어문교육 46. 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2.11. : 쓰기 치료를 위한 개인적 서사문 중심의 자기표현적 글쓰기 활동 (한어문교육 27. 한어문교육학회)
-
2012.11. : 고등학교 작문교과서 용어의 문제 분석과 대안 (작문연구 16. 한국작문학회)
-
2012.10. : 읽기 부진 학생의 눈동자 추적을 통한 읽기 과정 특성 분석 (한국연구재단지원) (국어교육 139. 한국어교육학회)
-
2012.07. : 쓰기 주제에 따른 쓰기 수행의 성별 차이 연구 (2인 공동. 교신) (작문연구 15집. 한국작문학회)
-
2012.06. : 눈동자 움직임 분석을 통한 중학생, 고등학생 및 대학생 읽기 특성 비교 (한국연구재단지원) (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(2).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)
-
2012.06. : 2009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영역 내용 성취기준의 적합성 분석 (3인 공동. 교신저자) (청람어문교육 45. 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2.04. : 예비국어교사의 중학생 논설문 평가에서 발견되는 엄격성 및 일관성의 특성 (국어교육학연구 43. 국어교육학회)
-
2012.03. : 평가자 일관성에 따른 설명문 평가 예시문 선정의 차이 연구 (2인 공동. 교신저자) (작문연구 14. 한국작문학회)
-
2012.03. : 중학생의 쓰기 상위인지 지식의 구성 요인 분석 (2인공동. 교신저자) (교육과정평가연구 15(1). 한국교육과정평가원)
-
2011.12. : 독자에게 적합한 도서의 수준과 측정 방법 (독서연구 26)
-
2011.12. :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효능감 분석 (청람어문교육 44)
-
2011.11. :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성별 및 정의적 변인의 효과 분석 (한국어문교육 24)
-
2011.11. : 국어교사의 작문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(작문연구 13)
-
2011.06. : 쓰기 효능감의 특성 및 신장 방안 (교과교육 4)
-
2011.06. : 국어과 교육과정의 현실과 지향 (국어교과교육연구 18)
-
2011.03. : 논설문 평가에 나타난 국어교사의 평가 특성 및 편향 분석(2인 공동, 교신) (교육과정평가연구 14(1))
-
2011.02. :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선을 위한 쓰기 평가 이론의 정립 (국어교육 134)
-
2011.01.30 : Rasch 모형을 활용한 국어교사의 채점 일관성 변화 양상 및 원인 분석 -중학생 서사문 채점을 중심으로- (우리어문학회)
-
2010.12.31 : 예비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효능감 분석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0.11.30 : 글 유형에 따른 중학생 쓰기 평가 요인의 관계 분석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10.07.15 : 예비 국어교사의 성별 및 학생 성별 인식에 따른 평가 차이 분석 (한국교육과정평가원)
-
2010.04.30 : 쓰기 지식과 쓰기 동기가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(한국국어교육학회)
-
2010.04. : Rasch 모형을 활용한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특성 분석-중학생 설명문 쓰기 평가를 중심으로 (국어교육학회)
-
2010.02.28 : 중학생 논설문 평가의 모평균 추정과 평가 예시문 선정 (한국어교육학회)
-
2010.01.30 : 국어교사의 설명문 평가에 대한 모평균 추정과 평가 예시문 선정 (우리어문학회)
-
2009.12.31 : 중학생 쓰기 윤리 의식 함양을 위한 쓰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9.11.30 : 중학생 쓰기 동기의 수준 및 변화 양상 분석 (한국작문학회)
-
2009.10.20 : 교사 양성 대학의 입학사정관 제도 운영 방향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09.08.31 : 중학생의 쓰기 동기 수준 및 성별에 따른 쓰기 수행의 차이 (국어교육학회)
-
2009.08.30 : 우리나라 학생들의 쓰기 효능감 발달 연구 (한국국어교육학회)
-
2009.07.15 : 한국과 중국 중학생의 쓰기 동기 비교 연구 (한국교육과정평가원)
-
2009.06.30 : 평가 예시문을 활용한 쓰기 평가 개선 방안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9.05.30 : 중학생의 쓰기 윤리 인식 분석 (한국작문학회)
-
2009.04.30 : 다문화 학습자와 중등학교 국어교육 (국어교육학회)
-
2009.04.30 : 국어 교사 효능감의 구성 요인 분석 (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)
-
2009.04.20 : 한국과 중국 중학생의 쓰기 습관에 따른 쓰기 동기 차이 연구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09.03.15 :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비교 연구 (한국교육과정평가원)
-
2009.02.28 : 인문계 고등학생의 쓰기 지식과 쓰기 수행의 상관 및 성별 학년별 차이 연구 (한국어교육학회)
-
2009.01.30 : 논술 평가자의 주관적 경험 분석 (우리어문학회)
-
2008.12.30 : 쓰기 윤리 의식 함양을 위한 쓰기 교수 학습 방안 (국어교육학회)
-
2008.12.30 : 중학생의 읽기 동기 구성 요인 분석과 읽기 동기 신장 프로그램 개발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8.11. : 우리나라 중등 대학 글쓰기 교육과정과 글쓰기 교재 (한국작문학회)
-
2008.10.30 : 국제결혼 가정의 교육 지원 체제 및 방안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08.06.30 : 작문 교육 이론의 구성 요인과 과제 (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)
-
2008.06.30 : 읽기 동기 신장을 위한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 구성 방안 (한국독서학회)
-
2008.06.30 : 비판적 이해에 대한 국어교사의 인식 분석 (한국독서학회)
-
2008.06.30 : 중학생 쓰기 수행의 성별 차이 연구 (한말연구학회)
-
2008.06.30 : 통합 인지 기반의 쓰기 모형 구성 연구 (한국텍스트언어학회)
-
2008.06.30 : 국어교사의 쓰기 동기 구성 요인 (배달말학회)
-
2008.06.30 : 중학생 쓰기 윤리 실태 연구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8.03.30 : 교실 친화적 국어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구성 방안 (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)
-
2008.02.28 : 반성적 쓰기가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(한국어교육학회)
-
2008.02.27 : 중학생의 읽기 동기 및 쓰기 동기에 대한 재검토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07.12.30 : 작문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(한국국어교육학회)
-
2007.12.30 : 인문계 고등학생의 쓰기 동기 구성 요인 (국어교육학회)
-
2007.12. : 쓰기 치료의 국어교육적 활용과 기대 효과(4인 공동, 교신) (배달말학회)
-
2007.11.30 : 중학생 읽기 동기와 쓰기 동기의 상관 분석 (한국작문학회)
-
2007.06.30 : 작문 교육 연구의 새로운 방향 (한국어교육학회)
-
2007.06.30 : 국어교육 연구에서 fMRI의 활용 방안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7.05.30 : 작문 과목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과 작문 교육의 방향 (한국작문학회)
-
2007.04.30 : 예비 국어 교사의 쓰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(한국국어교육학회)
-
2007.04.30 : 쓰기 효능감 및 성별 차이가 중학생의 쓰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(국어교육학회)
-
2007.03.30 : 국어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특징과 의의 (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)
-
2007.02.15 : 비평문 쓰기 교육의 방법 (산지니)
-
2007.01.31 : 논술 교육의 방향 (울산광역시교육청)
-
2007.01.19 : 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 지원 방향 연구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06.12.31 : 다문화시대의 국어교과서 단원 개발을 위한 연구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6.12.30 : 중학생 읽기 동기의 구성 요인 (한국독서학회)
-
2006.11.30 : 고등학교 작문 과목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(한국작문학회)
-
2006.08.30 : 반성적 쓰기를 활용한 작문 평가 방안 (한국국어교육학회)
-
2006.08.30 : 중학생의 쓰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(국어교육학회)
-
2006.05.30 : 교원 양성 대학의 작문 교육 프로그램 구성 방안 (한국작문학회)
-
2006.04.30 : 반성적 쓰기 활동이 학생필자의 쓰기 능력 및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(안암교육학회)
-
2006.04.30 : 쓰기 교육에서 지식의 범주와 교육 내용의 구조 (국어교육학회)
-
2006.03.14 : 내용 영역의 통합과 독립 (전국국어교사모임)
-
2006.02.27 : 국어과 교육과정 작문 평가 방법의 분석과 개선 방안 (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)
-
2006.02.25 : 국어교과서 기능의 변화와 단원 구성 방안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05.12.31 : 작문의 교수-학습에서 반성적 쓰기의 활용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5.12.30 : 사회구성주의 학습이론과 독서의 본질 (한국독서학회)
-
2005.10.10 : 논술 교육의 방향과 구조화 전략 (경상남도 교육청)
-
2005.08.30 : 학생 작문의 다니엘 효과와 예상독자 인식의 방법 (한국국어교육학회)
-
2005.06.30 : 독서교육의 성격과 유형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5.04.30 : 표현 이해 교육 연구의 방향과 과제 (국어교육학회)
-
2005.02.25 : 문식성 발달의 체계화를 위한 대안적 방법론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05.01.31 : 쓰기 영역과 작문 과목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내용 선정의 비교 (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)
-
2004.12.31 : 신문 서평의 비판적 검토와 사회적 독서 교육의 방향 (한국독서학회)
-
2004.12.31 : 학습용어 설정을 통한 국어교과서 진술의 개선 방안 연구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4.08.30 : 작문 교육에서 예상독자의 인식과 처리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4.08.30 : 다중적 예상독자의 개념과 작문교육의 방법 (국어교육학회)
-
2004.06.30 : 문식성 발달 연구를 위한 학제적 방법론 (한국국어교육학회)
-
2004.06.30 : 국어과 교육과정 용어의 진술과 개념 (한국독서학회)
-
2004.02.22 : 학습활동 진술의 인식과 이해에 대한 조사 연구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04.01.01 : 독서-작문의 통합에서 독서 활동과 작문 활동의 성격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3.12.01 : 의미 구성과 표현의 대응, 그리고 필자의 발달 (한국국어교육학회)
-
2003.12.01 :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읽기의 본질과 두 가지 읽기 이론 (한국독서학회)
-
2003.08.01 : 자료 텍스트의 관계 유형과 작문 교육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3.08.01 : 주제 중심 독서와 비평문 쓰기를 바탕으로 한 독서와 작문의 통합 교육 방안 (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)
-
2003.06.01 : 국어교과서에서 학습활동 진술의 구체화 방안 (한국교육과정평가원)
-
2003.06.01 :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인성 지도 (한국독서학회)
-
2003.06.01 : 과학영역의 작문에서 예상독자 유형과 은유의 전략 (국어교육학회)
-
2003.06.01 : 독서 발달과 음독에서 묵독으로의 이행 (한국국어교육연구회)
-
2003.02.01 : 반성적 텍스트의 효용성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02.08.01 : 비평적 대상을 읽는 두 가지 방법 (한국교원대학교 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2.02.01 : 작문 학습에서 비평문 쓰기의 의의 (한국교원대학교 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2.02.01 : 필자의 개념적 특징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02.01.01 : 결속 기제로서의 주제화 (한국교원대학교 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1.02.01 : 작문 이론과 작문 교육의 대응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저서/전시
-
2016.05. : 작문교육론 (박영민, 이재기, 이수진, 박종임, 박찬흥 공저) (역락)
-
2015.10. : 작문 교육 연구의 주제와 방법(원저: Handbook of Writing Research)(박영민,가은아,박종임,권태현,박찬흥,장은주 공역) ((주)박이정)
-
2015.09. : 독서교육론(이순영,최숙기,김주환,서혁,박영민 공저) (사회평론)
-
2015.02. : 국어학과 국어교육학 (15인 공동. 작문평가의 평가자 신뢰도) (채륜)
-
2013.06. : 쓰기 지도 방법(10인 공저. 대표저자) (역락)
-
2013.03. : 중학교 <국어 1> ~ <국어 6> (총6권, 공저) ((주) 비상교육)
-
2013.03. : 고등학교 <국어Ⅰ>, <국어Ⅱ> (공저) ((주)비상교육)
-
2013.03. : 고등학교 <화법과작문>(6인 공동. 대표저자) ((주)비상교육)
-
2012.06. : 쓰기 지도 및 쓰기 평가의 방법(G. Troia, 번역서) (시그마프레스)
-
2012.03. : 초등학교 국어 학습 부진의 이해와 지도(공저) (박이정)
-
2012.03. : 중학교 국어 학습 부진의 이해와 지도(공저) (박이정)
-
2012.03. : 고등학교 문학Ⅰ,Ⅱ(공저) ((주)비상교육)
-
2012.02. : 국어교육 연구 방법론(공저) (박이정 )
-
2011.03. : 고등학교 국어(상,하, 공저) ((주)비상교육)
-
2008.05.15 : 문식성 교육 연구 (한국문화사)
-
2007.10.01 : (예비 교사와 현장 교사를 위한) 교과 독서와 세상 읽기 (도서출판 박이정)
-
2006.12.01 : 독서 교육 사전 ((주)교학사)
-
2003.08.01 : 21세기 사회와 독서 지도 (박이정)
-
2003.07.01 : 과정 중심 작문 평가 (도서출판 원미사)
-
2003.07.01 : 사고와 표현-작문 워크숍과 글쓰기- ((주)교학사)
-
2003.07.01 : 과정 중심 비평문 쓰기 ((주)교학사)
-
2003.03.01 : 고등학교 문학(상) ((주)문원각)
-
2003.03.01 : 고등학교 작문 ((주)신원문화사)
-
2003.03.01 : 고등학교 문학(하) ((주)문원각)
-
2001.03.01 : 과정 중심 독서 지도 (교학사)
-
2001.02.01 : 문학 중심 독서 지도 (대한교과서(주))

박형우
교수
- 전공 국어교육과
- 학위 박사
- 전화번호 043-230-3549
- 이메일 phwcgs@knue.ac.kr
경력
-
2006.09. 한국문법교육학회 , 연구이사
-
2005.09. 한국어학회 , 회원
-
2004.09. ~ 2009.02. : 청람어문교육학회 , 출판이사
-
2004.03. 한민족어문학회 , 회원
-
2003.10. 한국어교육학회 , 회원
-
1999.08. ~ 2004.08. : 한국교원대학교 , 시간강사
-
1997.09. ~ 1998.06. : 육군사관학교 , 전임강사
-
1996.02. ~ 1997.09. : 육군사관학교 , 시간강사
-
1994.05. ~ 2004.02. : 서울 관악고등학교 , 교사
학력
-
2003.08. : 한국교원대학교 , 박사 (대한민국)
-
1995.02. : 한국교원대학교 , 석사 (대한민국)
연구
- 국어사, 문법교육
논문
-
2010.12.31 : 한국어 부정소의 의미 분화에 대한 연구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0.12.30 : 15세기 특이처격어에 대한 연구 (한민족어문학회)
-
2010.06.30 : 문법 영역 교육과정의 구성 방안 연구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9.08.30 : 문법 교육과 관련된 탐구 학습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(한국국어교육학회)
-
2009.06.30 : 국어생활사 교육의 평가 방법에 대한 시고 (한국문법교육학회)
-
2008.12.30 : 訓民正音 ‘象形而字倣古篆’의 의미 (한민족어문학회)
-
2008.06.30 : 문법 교육에서의 교사 요인 연구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8.06.30 : 문법 교육 연구와 교과서 제작 - 목표와 내용, 교수-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(한말연구학회)
-
2008.05.15 : 17세기 국어 부정문 연구 - '아니', '못' 부정문을 중심으로 (한국어학회)
-
2007.06.30 : 부정문의 중의성과 동의성 양상에 대한 연구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6.12.31 : 국어교육에서의 한글 교육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6.12.31 : 중세국어 문법과 국어사 단원의구성에 대한 연구 (한국문법교육학회)
-
2006.06.27 : 국어 교육에서의 중세국어 문법 교육 (한국문법교육학회)
-
2006.03.31 : 후기 중세국어의 부정문 연구 - '아니' 부정문을 중심으로 (도서출판 역락)
-
2006.02.28 : 국어 지식 교육 내용의 변천 연구 (한국어교육학회)
-
2005.12.31 : 16세기 국어 부정문 연구 (한민족어문학회)
-
2005.12.31 : 교과서의 고전 자료와 그 표기 방식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4.12.30 : '번역소학'의 부정문 연구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4.06.10 : '小學諺解'의 부정문 연구 (한국언어문화학회)
-
2004.06.10 : 고전자료와 독서교육 (한국독서학회)
-
2004.06.10 : 국어사 교육의 내용 선정에 대한 연구 (한국어교육학회)
-
2004.06.10 : '번역소학(飜譯小學)'과 '소학언해(小學諺解)'에 나타난 부정문의 비교 연구 (한민족어문학회)
-
2004.02.10 : 근대국어의 부정문 연구 (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04.01.01 : 고유어 접두사의 설정 기준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3.08.01 : 향찰 '毛冬'의 해석에 대하여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3.05.01 : 고대국어의 부정문 연구 (논문집간행위원회)
-
2003.02.01 : '아니' 부정문의 형성 제약 (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03.01.01 : 부정문의 유형 분류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2.02.01 : 제7차 중학교 국어교과서에 반영된 교육 이념에 대한 연구 (한국어문교육학회)
-
2001.02.01 : '우암선생 계녀서'의 문체적 특징에 대하여 (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00.03.01 : 국어 지식 영역의 방향과 교과서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0.02.01 : 단형 부정문의 부정어 '안'의 접두사 설정에 대하여 (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1996.12.01 : 후기 중세국어의 의문법에 대하여 (육군사관학교)
저서/전시
-
2010.04.15 : 새로운 국어사 연구론 (도서출판 경진)
-
2004.06.10 : 국어 부정문의 변천 연구 (한국문화사)
-
1998.03.01 : 작문의 이론과 실제 (집문당)
-
1996.09.01 : 화법의 이론과 실제 (집문당)

권순회
교수
- 전공 국어교육과
- 학위 박사
- 전화번호 043-230-3551
- 이메일 ksh0225@knue.ac.kr
경력
-
2011.03. 한국고전문학회 , 기획연구이사
-
2006.10. ~ 2010.09. : 한국교원대학교 , 조교수
-
2004.09. ~ 2006.09. : 한국교원대학교 , 전임강사
-
2001.06. ~ 2004.08. :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, 연구교수
-
2000.08. ~ 2001.05. :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, 선임연구원
-
1999.08. ~ 2001.02. : 대진대학교 , 시간강사
-
1999.04. 우리문학회 , 연구이사
-
1996.10. 한국시가학회 , 총무간사, 출판이사, 총무이사
-
1996.09. ~ 1997.02. : 공주대학교 국어교육과 , 시간강사
-
1996.09. ~ 2000.02. :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, 시간강사
-
1994.04. ~ 2000.08. :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, 연구원
-
1994.01. ~ 1995.04. :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, 연구원
학력
-
2000.08. : 고려대학교 , 박사 (대한민국)
-
1993.02. : 고려대학교 , 석사 (대한민국)
논문
-
2010.11.30 : 19세기 전반 가곡 가집『詩歌曲』의 특성과 계보 (한국시가학회)
-
2009.06. : 南滄 孫晉泰의 歌集 轉寫와 朝鮮古歌謠集 편찬 (한민족어문학회)
-
2009.06. : 玉屑華談의 疏通 樣相과 通俗性 (한국어문교육연구회)
-
2009.05. : 古今歌曲의 원본 발굴과 轉寫 경로 (우리어문학회)
-
2009.04.30 : 신재효 단가의 재조명 (판소리학회)
-
2008.12.31 :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국문시가 자료의 가치 (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)
-
2008.09. : 시조음율의 편제와 가곡의 특성 (한국언어문학회)
-
2008.01.31 : 海東歌譜(전북대 소장)의 性格 (한국시조학회)
-
2006.06.30 : 가곡 연창 방식에서 중대엽 한바탕의 가능성 (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)
-
2006.04.30 : 화전가류 가사의 창작 및 소통 맥락에 대한 재검토 (민족어문학회)
-
2005.06.30 : 조롱형태의 놀이로서의 규방가사 (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)
-
2004.01.31 : 時調三章의 새로운 이해 (한국시조학회)
-
2003.12.01 : 조선시대 인구, 경지면적 자료의 통계 분석 (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)
-
2003.08.01 : 조선후기 시조창의 형성과 전개의 방향 (한국시가학회)
-
2003.06.01 :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데이터세트 구현 방안 (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)
-
2002.12.01 : 고시조 시어 시소러스 개발 (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)
-
2002.04.01 : 黨爭期 불안한 士의 實存과 田家時調 (태학사)
-
2001.06.01 : 온라인 소통구조와 현대시의 수용문제-현대시 분야의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활용을 중심으로 (한국문연)
-
2000.08.01 : 단가삼결의 창작 맥락과 시적 지향 (한국시가학회)
-
1999.12.01 : 栗里遺曲 의 창작 기반과 시적 지향 (우리문학회)
-
1999.02.01 : 17세기 남원지방 재지사족의 동향과 정훈의 시가 (민족어문학회)
-
1995.12.01 : 잡가 연구의 현황과 과제 (태학사)
-
1995.08.01 : 초당문답가의 이본양상과 주제적 의미 (고려대학교 고전문학한문학연구회)
-
1993.08.01 : 단가의 형성과 변모양상 (민속학회)
저서/전시
-
2010.01.30 :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고서의 자료적 가치 (계명대학교 출판부)
-
2009.02.28 :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선본 고서 해제집 2 (계명대학교출판부)
-
2002.04.01 : 조선중기 시가와 자연 (태학사)
-
2002.02.01 : 古時調 데이터베이스의 計量的 分析과 時調史의 地形圖 (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)
-
1995.03.01 : 19세기 시가문학의 탐구 (집문당)

오윤선
교수
- 전공 국어교육과
- 학위 박사
- 전화번호 043-230-3577
- 이메일 ohys@knue.ac.kr
경력
-
2022.09.01 ~ 2024.08.31 : 청람어문교육학회 , 회장
-
2020.07.01 ~ 2024.01.28 : 한민족문화학회 , 편집위원
-
2020.01.01 ~ 2022.12.31 : 한국문학교육학회 , 회장
-
2019.03.01 ~ 2021.02.28 : 우리어문학회 , 부회장
-
2018.03.01 ~ 2020.02.29 : 고전문학한문학연구회 , 편집위원
-
2008.08. 한국교원대학교 제2대학 국어교육과 , 교수
-
2007.07. ~ 2008.07. :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기획사업단 , 전임연구원
-
2007.03. ~ 2007.07. :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, 전임대우강사
-
2005.04. ~ 2006.08. :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, 연구조교수
-
2001.09. ~ 2002.08. : U. of Hawaii, Center for Korean Studies , Visiting Scholar
학력
-
2005.02. : 고려대학교 , 박사 (대한민국)
-
1993.08. : 고려대학교 , 석사 (대한민국)
-
1990.02. : 고려대학교 , 학사 (대한민국)
연구
- 고전문학교육
- 고전서사
논문
-
2024.01.31 : 새 발굴 필사본들을 통해 본 <최현전>의 전승과 의미 (우리어문학회)
-
2023.09.04 : teachers in Korea using educational television docudramas (Multicultural Education Review)
-
2022.09.30 : 근대 러시아인의 한국 설화 번역본 연구 -가린의 <조선설화>를 중심으로- (우리어문학회)
-
2022.09.30 : 구글어스를 활용한 문학지리 교육 - 학습자의 『열하일기』 장소체험을 중심으로 - (한국문학교육학회)
-
2021.08.31 : 한국문화교육 제재로서 불전설화(佛典說話)의 현재적 의미 재고(再考)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20.06.30 : 창의융합 교육의 관점에서 본 문학 교과서의 문제와 대안- 창의융합 교육 제재로서의 드라마 <대장금> (한국문화융합학회)
-
2019.12.31 : 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국고전문학 교육의 방향 - 한국, 중국, 미국의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- (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)
-
2018.12.31 : <거울을 처음 본 사람들>의 영문번역 양상과 동화화(童話化)의 방향 (동화와번역연구소)
-
2018.12.31 : 한국어 교육 교재에 나타난 도깨비의 고찰-<혹부리 영감>과 <흥부와 놀부>를 대상으로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17.12. : 19세기말~20세기 중엽에 출간된 영문 한국설화집에 나타난 도깨비 연구 (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)
-
2017.12. : 영문 한국전래동화 그림책에 나타난 도깨비 연구 (동화와 번역 연구소)
-
2017.01. : 영문 판소리동화 그림책의 번역양상 고찰 (우리어문학회)
-
2016.12. : 영문 그림책으로 다시 쓴 한국 전래동화의 현황과 과제 (동화와 번역 연구소)
-
2016.12. : 판소리 제재 영문 한국 전래동화의 결말 변이양상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16.02. : 한국문화교육 제재로서 설화의 선정과 교재화 방향 (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)
-
2015.09. : 영문 한국전래동화의 한국설화 다시쓰기 양상-<콩쥐팥쥐 이야기>를 중심으로-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5.03. : 고전문학교육에서의 스토리텔링 활용 일고찰-교과서 제재 학습활동 사례를 중심으로-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4.12. : 2000년 이후 출간 한국고소설 영역본의 양상- The Novels of Park Jiwon과 Unyŏngjŏn을 중심으로 (한국고소설학회)
-
2014.12. : <최현전>의 새 이본 발굴소개와 전승의 향방 (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14.07. : 외국인의 한국설화 다시쓰기 양상- 호랑이 소재담을 중심으로- (우리문학회)
-
2014.01. : 19세기말~20세기 초 영문(英文) 한국설화의 자료적 가치 연구 (우리문학회)
-
2013.09. : 구활자본 고소설 <영웅호걸>의 발굴소개와 그 의미 (우리어문학회)
-
2013.02. : 영역작품을 통해 본 외국인의 한국고전소설인식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12.12. : 구활자본 <최장군전>의 발굴과 그 의미 (한국고소설학회)
-
2012.06. : 근대초기 한국설화 영역자들의 번역태도 연구-Allen, Griffis, Hulbert, Carpenter를 중심으로- (동화와 번역 연구소)
-
2011.11. : 영문(英文) 한국문학사의 서술양상 연구-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을 중심으로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11.06. : 한국설화 영역본(英譯本)의 현황과 특징 일고찰-<견묘쟁주설화(犬猫爭珠說話)>를 중심으로 (동화와 번역 연구소)
-
2010.12.30 : 교과서 제재로서의 <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> 일고찰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0.11.30 : 설화에 나타난 '추리' 모티프의 양상과 의미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10.04.30 : <단군신화(檀君神話)> 영역자(英譯者)의 시각(視角) 일고찰 (국제어문학회)
-
2009.10.30 : 한국고전서사와 추리소설 (민족어문학회)
-
2009.10. : 20세기초 번역번안소설의 양상과 의미 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09.04.30 : 이공계 대학생의 학술논문쓰기 교육과 평가항목 (국제어문학회)
-
2008.05.30 : <박문수전>에 나타난 '박문수'의 인물형과 고전서사물에서의 변이양상 (우리어문학회)
-
2007.04.30 : <춘향전> 영역본의 고찰 (판소리학회)
-
2006.12.31 : 이공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글쓰기 교수법의 방향 (힌국어문교육연구회)
-
2006.11.30 : 고소설과 신소설의 관련성 연구 (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)
-
2006.06.30 : 세계의 신데렐라유형 이야기군 속에서의 <콩쥐팥쥐 이야기> 고찰 (동화와 번역 연구소)
-
2006.04.30 : <옥중화>를 통해 본 '이해조 개작 판소리'의 양상과 그 의미 (판소리학회)
-
2005.12.30 : 신소설 서지 데이터베이스의 분석과 그 의미 (우리어문학회)
-
2004.06.30 : <허생전>의 영역본을 통해 본 한국고소설 영역의 문제 (한국고소설학회)
-
2001.12. : <홍장군전>의 창작경위와 인물형상화의 방향 (한국고소설학회)
-
2001.12. : <정생전>의 성격 재고 (우리문학회)
-
2000.08. : <콩쥐팥쥐 이야기>에 대한 고찰 (민족어문학회)
저서/전시
-
2023.03.29 : 융합교육으로 미래교육의 길을 찾다: 미래교육을 열어가는 현장중심 융합교육(공저) (맘에 드림)
-
2019.01.11 : 한국 고소설 강의(공저) (돌베개)
-
2015.10. : (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집필한) 고전산문 교육론(공저) (도서출판 역락)
-
2013.08. : 정전(正典)형성의 논리(공저) (소명출판)
-
2013.02. : 고전소설 교육론(공저) (도서출판 역락)
-
2012.03. : 문학 II(공저) (비상교육)
-
2012.03. : 문학 I(공저) (비상교육)
-
2011.08. : 청람교육의 이해(공저) (한국교원대학교 출판부)
-
2011.01. :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3. 추리물(공저) (이론과 실천)
-
2009.02. :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2.역사허구물(공저) (이론과 실천)
-
2008.10.01 : 한국 고소설 영역본으로의 초대 (지문당)
-
2008.09. : 과학기술 글쓰기(공저) (서울대학교출판부)
-
2002.12. : 고소설 연구사(공저) (도서출판 월인)

임수만
교수
- 전공 국어교육과
- 학위 박사
- 전화번호 043-230-3578
- 이메일 limsm@knue.ac.kr
경력
-
2012.10. 한국교원대학교 , 부교수
-
2010.09. ~ 2012.09. : 한국교원대학교 , 조교수
-
2008.08. 청람어문교육학회 , 회원
-
2008.08. ~ 2010.08. : 한국교원대학교 , 전임강사
-
2007.03. ~ 2008.07. : 군산대학교 , 시간강사
-
2006.02. 국어국문학회 , 회원
-
2005.03. ~ 2008.07. : 서울대학교 , 시간강사
-
2003.03. ~ 2005.08. : 동양공업전문대학 , 강의전담교수
-
2000.09. ~ 2001.02. : 홍익대학교(조치원) , 시간강사
-
1999.03. ~ 2000.08. : 서울여자대학교 , 시간강사
-
1997.06. 한국시학회 , 회원
-
1996.12. 한국현대문학회 , 회원
-
1996.03. ~ 2003.02. : 동양공업전문대학 , 시간강사
학력
-
2004.08. : 서울대학교 , 박사 (대한민국)
-
1996.08. : 서울대학교 , 석사 (대한민국)
-
1992.08. : 서울대학교 , 학사 (대한민국)
연구
- 한국현대시 : 한국문학, 현대시, 문학교육
논문
-
2016.12. : 김관식론--도의 문학, 인유의 시학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6.08. : 서정주 문학과 신화적 사고 (한국현대문학회)
-
2015.12. : 김소월 시에 나타난 슬픔의 윤리와 미학 (한국현대문학회)
-
2015.06. : 정지용의 삶과 문학 (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14.12. : 베르그손의 삶과 사상에 대하여--직관과 감동을 중심으로 (한국교원대 인문과학연구소)
-
2014.12. : 한용운 시의 미학 연구--님의 침묵을 중심으로 (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14.09. : 백석 시에 나타난 영혼의 슬픔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3.12. : 청마 문학의 고독한 산책자 이미지 연구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3.10. : 엘리아데의 상징론 연구 (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12.12. : 조지훈의 시와 시론 (한국교원대 인문과학연구소)
-
2012.12. : 김소월 시의 원본 문제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1.12. : 한국 개화기 시의 운율 연구 (한국교원대 인문과학연구소)
-
2010.12.31 : 金宗三 시의 윤리적 양상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0.12. : 윤재철론--능소화, 그 아련한 빛의 비밀 (시와 경계)
-
2010.06. : 바람 소리, 영의 울림 (시와 정신)
-
2009.12.31 : 백석 시의 ‘아름다움’과 ‘숭고’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9.12.30 : 백석 시에 나타난 공동체 윤리 (개신어문학회)
-
2009.02. : 부재하는 것을 보는 세 가지 방식 (시와 정신)
-
2009.01. : 고은 작품론--노란꽃, 붉은 열매, 그리고 흰눈, 허공의 춤 (유심)
-
2008.08.15 : 청마 유치환의 '고독'과 '생명'에의 열애 (한국시학회)
-
2008.04.30 : 윤동주 시의 실존적 양상--절망과 불안, 그리고 존재에의 용기 (한국현대문학회)
-
2008.03.31 : 최남선 문학에서 산의 의미 (한국현대작가학회)
-
2007.06.30 : 김영랑론--'심미적인 것'의 구조와 의미 (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)
-
2007.05.30 : 1920년대 데카당스 문학 연구 (국어국문학회)
-
2006.12. : 유치환 시론 연구 (20세기 한국시론1(도서출판 글누림))
-
2006.05.30 : 육당 최남선론 (국어국문학회)
-
2005.12. : 김기림의 문학사상 (지역학연구(대전대학교 지역협력연구원))
-
2003.08. : 근대의 반성과 생태주의 (20세기 한국시의 사적 조명(태학사))
-
2001.12. : 현대시의 언어유희와 웃음 (관악어문연구(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))
-
1999.07. : 김수영 문학의 양가성 (한국전후문학의 분석적 연구(월인))
저서/전시
-
2012.03. : 문학(1,2) (비상)
-
2006.04.28 : 우주와 역사의 접점 찾기 (역락)

이동석
교수
- 전공 국어교육과
- 학위 박사
- 전화번호 043-230-3528
- 이메일 dsdslee@knue.ac.kr
경력
-
2023.03.01 국어사학회 , 부회장
-
2023.01.01 한국국어교육학회 , 편집위원
-
2022.09.01 한국어학회 , 지역이사
-
2022.09.01 청람어문교육학회 , 총무이사
-
2022.01.01 민족어문학회 , 지역이사
-
2021.03.01 ~ 2023.02.28 : 국어사학회 , 편집위원장
-
2020.09.01 ~ 2022.08.31 : 한국어학회 , 편집이사
-
2020.09.01 ~ 2022.08.31 : 청람어문교육학회 , 섭외홍보이사
-
2019.03.01 ~ 2021.02.28 : 국어사학회 , 감사
-
2019.03.01 ~ 2021.02.28 : 우리어문학회 , 감사
-
2019.01.01 한국언어문학회 , 학술연구윤리위원
-
2019.01.01 ~ 2019.12.31 : 한국어문학회 , 이사교 이사
-
2018.09.01 ~ 2020.08.31 : 청람어문교육학회 , 연구이사
-
2018.09.01 ~ 2020.08.31 : 한국어학회 , 지역이사
-
2017.08.01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, 편집위원
-
2017.07.01 ~ 2019.06.30 : 한말연구학회 , 일반이사
-
2017.03.01 ~ 2019.02.28 : 국어사학회 , 총무이사
-
2017.03.01 ~ 2019.02.28 : 우리어문학회 , 지역이사
-
2017.03.01 ~ 2019.02.28 : 우리어문학회 , 편집위원
-
2017.03.01 ~ 2021.02.28 : 국어사학회 , 편집위원
-
2016.09.01 ~ 2018.08.31 : 청람어문교육학회 , 총무이사
-
2016.09.01 개신어문학회 , 윤리위원
-
2016.03.01 ~ 2020.02.29 : 한국문법교육학회 , 연구이사
-
2016.03.01 한국문법교육학회 , 편집위원
-
2015.09.01 ~ 2017.08.31 : 국어교육학회 , 총무이사
-
2015.03.01 ~ 2017.02.28 : 국어사학회 , 지역이사
-
2015.01.01 ~ 2016.12.31 : 한국어학회 , 연구이사
-
2015.01.01 ~ 2017.12.31 : 인문학연구 , 편집위원
-
2014.09.01 ~ 2016.08.31 : 청람어문교육학회 , 편집이사
-
2014.02.01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, 지역이사
-
2013.01.01 ~ 2018.12.31 : 한국국어교육학회 , 연구이사
-
2013.01.01 ~ 2014.12.31 : 한국어학회 , 홍보이사
-
2013.01.01 ~ 2014.12.31 : 민족어문학회 , 연구윤리위원
-
2013.01.01 ~ 2016.12.31 : 어문연구학회 , 지역이사
-
2013.01.01 우리말학회 , 편집위원
-
2011.06.01 한국중원언어학회 , 연구이사
-
2011.03.01 ~ 2013.02.28 : 우리어문학회 , 연구이사
-
2011.01.01 ~ 2012.12.31 : 한국어학회 , 편집이사
-
2010.01.01 ~ 2011.12.31 : 한민족문화학회 , 지역이사
-
2010.01. ~ 2011.12. : 동남어문학회 , 편집위원
-
2009.03. ~ 2011.02. : 국어사학회 , 편집위원
-
2009.03. ~ 2015.02. : 국어사학회 , 연구이사
-
2007.06.01 한국중원언어학회 , 편집위원
-
2007.06. ~ 2011.05. : 한국중원언어학회 , 일반이사
-
2007.04. ~ 2009.03. : 국어교육학회 , 편집위원
-
2007.03. ~ 2009.02. : 국어사학회 , 재무이사
-
2005.03. ~ 2014.02. : 청주대학교 , 전임강사, 조교수, 부교수
-
2003.09. ~ 2005.02. :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국어연구소 , 선임연구원
-
2003.08. ~ 2004.02. : 강남대학교 , 시간강사
-
2003.03. ~ 2004.02. : 경원대학교 , 시간강사
-
2002.09. ~ 2005.02. : 고려대학교 , 시간강사
-
2002.09. ~ 2003.08. : 고려대학교 박사후 연수과정 , 연구원
-
2002.09. ~ 2005.02. : 광운대학교 , 시간강사
-
2001.03. ~ 2004.02. : 홍익대학교 , 시간강사
-
1998.06. ~ 1998.06. :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, 연구원
-
1998.03. ~ 2000.08. : 고려대학교 , 시간강사
-
1997.03. ~ 2004.08. : 국립의료원 간호대학 , 시간강사
-
1996.03. ~ 1998.06. :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자연언어데이터베이스실 , 연구원
학력
-
2002.02. : 고려대학교 , 박사 (대한민국)
-
1996.02. : 고려대학교 , 석사 (대한민국)
-
1994.02. : 고려대학교 , 학사 (대한민국)
연구
- 음운론, 형태론, 음운사, 어휘사, 어문 규범
논문
-
2022.09.30 : 학교 문법의 구개음화 동화주에 대한 기술 문제 (청람어문교육(청람어문교육학회) 89)
-
2022.05.31 : ‘X어다보다’류 동사의 어원적 분석 (한국어문교육(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 39집)
-
2022.05.15 : '투성이'의 의미 및 형태·통사적인 변화에 대한 연구 (한국어학(한국어학회) 95집 <2인 공동>)
-
2021.09.30 : 사잇소리 현상에 대한 비판과 대안 (청람어문교육(청람어문교육학회) 83)
-
2021.09.30 : 중세국어 ‘ㅐ, ㅔ, ㅚ, ㅟ’ 등의 음가와 단모음화 현상 (한글(한글학회) 82-3)
-
2021.05.31 : 국어의 반모음은 음소인가 (한국어문교육(고려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) 35)
-
2020.11.30 : ‘자다’에서 파생된 어휘의 통시적 변화 연구 (언어와 정보 사회(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) 41집)
-
2020.10.31 : 팔종성법의 실현 양상과 음운론적인 해석 (국어사연구(국어사학회) 31집)
-
2019.10.31 : "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자모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" (한국초등국어교육(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) 67집 <2인 공동>)
-
2019.04.30 : "어원의 국어교육적인 의의와 활용 방안" (국어사연구(국어사학회) 28집)
-
2019.03.31 : "국어 교과서의 훈민정음 관련 기술에 대한 비판적 고찰:'언문'의 의미와 『훈민정음』 반포를 중심으로" (언어와 정보 사회(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) 36집)
-
2018.12.31 : "문법성 판단의 기준과 절차" ([한국어문교육](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) 38집)
-
2018.11.30 : "‘애매하다’의 의미 변화와 ‘애먼’의 어원" ([민족문화연구](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) 81집)
-
2018.02. : "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원 활용 연구" ([한국어문교육](고려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) 24집)
-
2017.12.30 : "『훈민정음』의 자음" ([관악어문연구](서울대 국어국문학과) 42집)
-
2017.10. : "훈민정음 반포와 한글날에 대하여" ([한국어문교육](고려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) 23집)
-
2017.06. : "국어 음운사의 연구 성과와 과제- 자음을 중심으로 -" ([한말연구](한말연구학회) 44집)
-
2016.05. : "한글 맞춤법 어원 설명의 문제점" ([민족문화연구](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) 71집)
-
2016.04. : "음운과 매체" ([문법 교육](한국문법교육학회) 26집)
-
2016.04. : "날짜 어휘의 형태론적 분석-‘할/흘’ 결합형을 중심으로-" ([국어사연구](국어사학회) 22집)
-
2015.12. : "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음운 단원 연구" ([새국어교육](한국국어교육학회) 105집)
-
2015.12. : "‘켤레’, ‘호리’, ‘겨리’의 어원 연구" ([국어학](국어학회) 76집)
-
2015.10. : "중세국어 부사 파생법의 연구 성과와 과제" ([국어사연구](국어사학회) 21집)
-
2015.04. : "한글 맞춤법 조항에 대한 몇 가지 쟁점 -전문가의 의식 조사를 바탕으로-" ([문법 연구](한국문법교육학회) 23집 (3인 공동))
-
2014.12. : "중세국어 ‘거긔’ 구성의 의미 기능과 문법화" (「국어사연구」(국어사학회) 19집)
-
2014.08. : ‘-냐’계 어미의 결합 분포에 대하여 -구어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- (「민족문화연구」(민족문화연구원) 64집)
-
2014.03. : "한국어교육에서의 ‘-냐’계 어미 교육" (「새국어교육」(한국국어교육학회) 98집 (2인 공동))
-
2014.03. : "국어사에서의 기술 문법과 학교 문법-<독서와 문법 Ⅱ> 교과서를 중심으로-" (「국어학」(국어학회) 69집)
-
2013.11. : "‘수ㅸl’의 이표기 연구" (「한국어학」(한국어학회) 61집)
-
2013.10. : "‘ㅸ’의 음가론" (「국어사연구」(국어사학회) 17집)
-
2013.03. : "‘음절의 끝소리 규칙’에 대한 비판적 검토" (「새국어교육」(한국국어교육학회) 94집)
-
2013.02. : "[님의 침묵]의 표기법에 대하여" (「인문과학논집」(청주대) 46집)
-
2012.12. : "전주역사박물관 소장 ‘한글 음식방문’에 대하여" (「민족문화연구」(민족문화연구원) 57집)
-
2012.10. : "겹말에 대한 통시적 연구" (「어문논집」(민족어문학회) 66집)
-
2012.06. : "2010 개정 민원 서식에 대한 국어학적 검토" (「새국어교육」(한국국어교육학회) 91집)
-
2012.05. : "‘효과’의 발음에 대하여" (「우리어문연구」(우리어문학회) 43집)
-
2011.12. : "‘-도쇠’류 어미의 통시적 변화에 대하여" (「한국학연구」(한국학연구소) 39집)
-
2011.10. : ""법령 별표 및 서식의 우리말 문제점과 개선 방안"" (「어문논집」(민족어문학회) 64집)
-
2011.06. : “국어 문장 부호 규정의 몇 가지 논점” (「문법교육」(한국문법교육학회) 14집 (2인 공동))
-
2011.06. : “국어 순화 결과 분석 및 방법론 제언” ( 「새국어생활」(국립국어원) 21-2집)
-
2011.06. : “현행 사이시옷 규정과 관련된 몇 문제” (「민족문화연구」(민족문화연구원) 54집)
-
2011.02. : “영랑의 시어 ‘사개틀닌’에 대하여” ( 「인문과학논집」(청주대) 42집)
-
2011.01. : “일부 국어 관형 표현의 일본어 영향설에 대하여” ( 「우리어문연구」(우리어문학회) 39집)
-
2010.11. : “중세국어 어기 ‘번’의 단어족 연구” ( 「한국어학」(한국어학회) 49집)
-
2010.10. : “‘ㅸ’ 포함 어휘의 형태론적 분석” ( 「국어사연구」(국어사학회) 11집)
-
2010.08. : “ㅎ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연구” ( 「언어학 연구」(한국중원언어학회) 17집)
-
2010.02. : “진천 방언 어휘의 음운론적인 특징” ( 「인문과학논집」(청주대) 40집)
-
2009.11. : “국어의 주어적 속격에 대한 연구” ( 「언어학 연구」(한국중원언어학회) 15집)
-
2009.10. : “중세국어 ‘우르다’에 대한 어휘사적 연구” ( 「국어사연구」(국어사학회) 9집)
-
2009.10. : “마찰음화 현상과 약자음화 현상” ( 「어문논집」(민족어문학회) 60집)
-
2009.09. : “ㄹ탈락 현상과 ‘으’계 어미의 기본형” ( 「21세기 국어학의 과제」 서울: 月印)
-
2009.09. : “현대국어 접두사의 변천” ( 「현대 국어의 형성과 변천1」(음운․형태) 서울: 도서출판 박이정)
-
2009.02. : “영랑의 시어 ‘제우다’에 대하여” ( 「인문사회과학연구」(호남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) 22집)
-
2009.02. : “향가 원전의 분절 및 ‘支, 攴, 支’” (「박영준을 그리다」 서울: 월인)
-
2008.12. : “한글의 풀어쓰기와 모아쓰기에 대하여” ( 「청람어문교육」(청람어문교육학회) 38집)
-
2008.08. : “소월 시에 등장하는 ‘빗기다’의 의미 연구” ( 「어문논총」(동서어문학회), 22집)
-
2008.05. : “음운사와 어원” ( 「한국어학」(한국어학회) 39집)
-
2008.03. : “모다(모르다)의 어원 연구” ( 「형태론」 10-1집)
-
2007.12. : “북한의 문화어를 중심으로 한 백석 시의 어휘 몇 가지에 대한 검토” ( 「새국어교육」(한국국어교육학회) 77집)
-
2007.10. : “중세국어 ‘다 ’의 의미와 변천 연구” ( 「국어사연구」(국어사학회) 7집)
-
2007.09. : “고어를 이용한 백석 시의 어휘 몇 가지에 대한 검토” ( 「우리어문연구」(우리어문학회) 29집)
-
2007.06. : “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의 몇 가지 화법 문제” ( 「청람어문교육」(청람어문교육학회) 35집)
-
2006.11. : “신문 방송 언어의 실태와 언어 규범” ( 「한국어학」(한국어학회) 33집)
-
2006.10. : “뉴스 자막 언어의 오류 실태 연구” ( 「어문논집」(민족어문학회) 54집)
-
2006.08. : “중세국어 ‘짛다’의 의미 및 변화 연구” ( 「한국어학」(한국어학회) 32집)
-
2006.06. : “우리말 관련 신문 연재 기사의 오류에 대하여” ( 「우리어문연구」(우리어문학회) 26집)
-
2006.06. : “[동아일보 스타일북]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” ( 「민족문화연구」(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) 44집)
-
2006.04. : “효과적인 사이시옷 표기 교육” ( 「새국어교육」(한국국어교육학회) 72집)
-
2006.02. : “「朝鮮館譯語」의 첨기자 ‘思’의 음가에 대하여” ( 「국어사와 한자음」 서울: 박이정)
-
2005.11. : “중세국어 ‘미좇다’의 ‘미’를 찾아서” ( 「한국어학」(한국어학회) 29집)
-
2005.10. : “형태소 내부의 순행 비음화 현상에 대하여” ( 「언어학」(중원언어학회) 9집)
-
2005.10. : “국어사전을 이용한 국어교육” ( 「어문논집」(민족어문학회) 52집)
-
2005.09. : “오축(五畜)의 유축(幼畜) 명칭에 대하여” ( 「어문논총」(동서어문학회) 19집)
-
2005.08. : “국어 경음화 현상에 대한 연구” ( 「인문과학논집」(청주대) 32집)
-
2005.07. : “‘표준어 사정 원칙’에 반영된 표준 발음 연구” ( 「국어 연구와 의미 정보」 서울: 월인)
-
2005.06. : “중세국어 용언 ‘계오다/계우다’의 통시적 변화” ( 「민족문화연구」(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) 42집)
-
2004.11. : “‘가시내’(갓나)의 어원 연구” ( 「아시아여성연구」(숙명여대 아시아여성연구소) 43-2집)
-
2004.10. : “연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연구” ( 「어문논집」(민족어문학회) 50집)
-
2004.09. : “효과적인 표준 발음 교육” ( 「말소리」(대한음성학회) 51집)
-
2004.06. : “「鷄林類事」를 통해서 본 ‘ㅂ계 합용병서’와 ‘ㅸ’ ” ( 「국어사연구」(국어사학회) 4집)
-
2004.06. : “‘겨집’에 대한 어휘사적 고찰” ( 「민족문화연구」(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) 40집)
-
2004.06. : “중세국어 ‘오라-’와 현대국어 ‘오래-’의 비교 연구” ( 「이중언어학」(이중언어학회) 25집)
-
2003.06. : “모음간 ㄹ탈락 현상에 대하여” ( 「민족문화연구」(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) 38집)
-
2003.02. : “중세 국어 ‘/*’ 파생형에 대한 형태․의미적 연구” ( 「東洋學」(단국대 동양학연구소) 33집)
-
2003.02. : “비통사적 합성 용언 어간에서 발견되는 모음조화 현상” ( 「國語學의 새로운 照明」)
-
2002.12. : “「鷄林類事」의 여성 명칭어 연구” ( 「아시아여성연구」(숙명여대 아시아여성연구소) 41집)
-
2002.06. : “15세기 ‘ㄷ’ 구개음화 현상 고찰” ( 「한국어학」(한국어학회) 15집)
-
2002.02. : 「국어 음운 현상의 소멸과 변화에 대한 연구」 (박사학위논문)
-
2000.12. : “향가의 첨기 현상에 대한 연구” ( 「구결연구」(구결학회) 6집)
-
2000.12. : “ㄹ탈락 현상의 적용 환경과 발생 및 소멸 시기에 대하여” ( 「한국어학」(한국어학회) 12집)
-
1999.11. : “‘-와/-과’의 성격과 기능 분화에 대하여” ( 「국어의 격과 조사」 서울: 月印)
-
1998.05. : “근대국어의 파생법” ( 「근대국어 문법의 이해」(홍종선 엮음) 서울: 박이정)
-
1997.08. : “구개음화의 어휘화와 ‘ㅅ’ 종성에 대하여” ( 「한국어학」(한국어학회) 6집)
-
1996.02. : 「국어 이중모음에 대한 통시적 연구」 (석사학위논문)
-
1995.02. : “<때림> 동사의 분절 구조” (「우리말내용연구」(우리말내용연구회) 2집)
저서/전시
-
2019.03.01 : [언어와 매체](7인 공저) ((주) 비상교육)
-
2018.09.28 : [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전망 1](8인 공저) (서울: 국립한글박물관)
-
2017.10. : [(국어 선생님을 위한) 문법교육론](4인 공저) (서울: 창비교육)
-
2017.08. : [한국 현대문학의 향연](16인 공저) (서울: 역락)
-
2015.06. : [시어의 어원 연구] (서울: 한국문화사)
-
2013.05. : [우리말 어휘의 역사 연구 1] (서울: 역락)
-
2013.03. : 중학교 [국어 1] ~ [국어 6] (19인 공저) ((주) 비상교육)
-
2009.03. : 「만보젼셔」(3인 공저) (서울: 학고방)
-
2005.09. : 「국어 음운 현상의 공시성과 통시성」 (서울: 한국문화사)
-
2005.02. : 「한국어 표현 문법」(15인 공저) (서울: 한국문화사)
-
2003.12. : 「방송 언어와 국어 연구」(6인 공저) (서울: 월인출판사.)
-
1995.11. : 「譯註 飜譯老乞大」(공저) (서울: 태학사)
수상경력
-
2011.12.09 [한국어문기자협회] 제23회 한국어문상 특별상 , 한국어문기자협회로부터 특별상 수상
-
2006.01.31 [문화관광부] 우수학술도서 선정 , [국어 음운 현상의 공시성과 통시성]이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됨.

윤천탁
교수
- 전공 국어교육과
- 학위 교육학박사
- 전화번호 043-230-3615
- 이메일 karamal@knue.ac.kr
경력
-
2013.03. ~ 2015.02. :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본부 , 부연구위원
-
2008.05. ~ 2011.03. :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과정교과서연구본부 , 위촉연구원
-
2002.08. ~ 2005.02. :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수학습개발본부 , 위촉연구원
-
1998.07. ~ 2001.02. :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, 조교
학력
-
2012.08. : 한국교원대학교 , 교육학박사 (대한민국)
-
2001.02. : 한국교원대학교 , 교육학석사 (대한민국)
-
1997.02. : 한국교원대학교 , 교육학학사 (대한민국)
연구
- 어휘교육
- 문법교육
논문
-
2014.04. : 문법 교육에서 어휘 개념의 재정립 및 어휘소 개념 도입의 유용성 (문법교육 제20호)
-
2014.03. : 인성 교육을 위한 어휘 교육 실천으로서 "공정한 표현" 지도 단계 구안 (청람어문교육 제49집)
-
2012.06. : 교과용 도서의 문장 부호 사용 실태와 문제점 해결 방안 (청람어문교육 제45집)
-
2011.06. : "공정한 어휘" 사용의 생활화를 위한 어휘 교육 방안 (청람어문교육 제43집)

김왕규
교수
- 전공 국어교육과
- 학위 박사
- 전화번호 043-230-3546
- 이메일 wind63@knue.ac.kr
경력
-
2017.01. ~ 2018.12. : 한국한문교육학회 , 부회장, 편집위원장
-
2016.01. ~ 2017.12. :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, 학회장
-
2003.03. 한국교원대학교 , 교수
-
1999.04. ~ 2003.02. : 한국교육과정평가원 , 부연구위원
학력
-
1996.02. : 고려대학교 , 박사 (대한민국)
-
1989.02. : 단국대학교 , 석사 (대한민국)
-
1986.02. : 서울교육대학교 , 학사 (대한민국)
연구
- 한문교육학
논문
-
2016.06. : 한문의 활용-한문과 인성, 한문과 문화 영역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 분석 (한국한문교육학회 )
-
2016.01. : 한국의 초급과정 한자교육 현황 (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)
-
2015.12. : 주제 파악하기 교수학습 방법 시론 (한국한문교육학회)
-
2015.09. : 한문과 평가의 위상과 연구 동향 (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)
-
2015.06. : 한자 교수학습 방법 연구 (한국어문교육학회)
-
2015.01. : 한국의 한자 교육의 위상과 연구 동향 (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)
-
2014.12. : 한문 텍스트 이독성 요인 분석을 통한 이독성 공식 개발 연구 (한국한문교육학회)
-
2014.09. : 한자 어휘 의미 파악 경로 (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)
-
2014.01. : 한자 해독과 독자의 배경 지식의 상호 작용을 통한 한문 독해 교육 시론 (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)
-
2013.12. : 한문 학습자의 오역, 오독, 오기 검사 및 분석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3.12. : 한문 학습 자전 수록 한문 용례 선정 및 조직 (한국한문교육학회)
-
2013.08. : 한문, 국가 어문 정책에 길을 묻다 (동양한문학회)
-
2013.06. : 한문과 창의인성 학습 내용 선정 및 조직 (한국한문교육학회)
-
2012.12. :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문화 영역의 내용 분서과 향후 과제 (한국한문교육학회)
-
2012.11. : 문화 영역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내용 분석 (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)
-
2012.06. : 고사성어 교수학습 활동 및 단원 구성 방안 (한국한문교육학회)
-
2011.12. : 한문교육학 연구방법론 (한국한문교육학회)
-
2011.06. : 한문과 평가도구 개발 연구 (한국한문교육학회)
-
2011.05. : 한문과 통합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 (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)
-
2010.11.30 : 초등학교 한문 교과서 단원 구성의 원리와 방안 (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)
-
2010.06.30 : 한문과 학생 평가의 실태와 요구 분석 (한국한문교육학회)
-
2010.05.31 :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학습 평가의 제 문제 (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)
-
2010.02.28 : 고전 검사 이론에 의한 한문과 평가 문항 분석 (근역한문학회)
-
2009.12.31 : 한문과 학생 평가 연구와 실천의 과제 (한국한문교육학회)
-
2009.12.31 : 한문과 평가 유형 (고려대학교한자한문연구소)
-
2009.06.30 :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과목 한문 이수 실태와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검사 (한국한문교육학회)
-
2009.05.30 :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과목 한문 이수 정도에 따른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-한문 학력차 해소를 위한 설문 조사와 현장 사례를 중심 (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)
-
2008.12.31 : 한문 교과서 단원 구성의 원리와 방안 (한국한문교육학회)
-
2008.11.28 : 한문교육학 연구자로서의 교사와 교수, 그 변화와 성찰의 한 국면-대학원 '한문교육원론' 수업 비평 (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)
-
2007.12.31 : 한문교육학의 성격에 대한 몇 가지 쟁점 (한국한문교육학회)
-
2007.12.31 :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그 위상(位相)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6.12.31 : 한문교육학 연구방법론의 현황과 과제 (한국한문교육학회)
-
2006.11.01 : 한자 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(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)
-
2006.11.01 : 한문과 교과교육 내용 체계 및 내용 교재 개발 (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)
-
2006.06.30 : 언어교과의 내용 체계의 몇 가지 쟁점 (한국한문교육학회)
-
2005.12.31 : 국어 교과 지도와 한자어 교육 (한국어문교육연구회)
-
2004.12.01 : 한자 자훈(字訓) 이해와 한자어 의미 이해의 상관도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4.06.30 : 한문교육과정 개정 변천 양상과 한문과의 위상 (한국한문교육학회)
-
2003.12.01 : 16세기 사림파의 독서에 대한 담론에 나타난 몇 가지 특징적 국면 (한국독서학회)
-
2003.12.01 : 한국의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현황과 과제 (한국한문교육학회)
-
2003.12.01 : 한문교육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서설-한문교육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(대동한문학회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