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학원 설립 목적
각급 학교교육의 체계적, 종합적, 시범적 모델을 개발 보급하여 교육발전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, 교육이론과 실제를 통하여 한국 교육을 이끌어 갈 교육학자를 양성하며, 유·초등·중등 현직 교원에 대하여 전공 분야별 교과교육의 이론탐구 및 현장 적용을 통하여 교과교육 전문가를 양성하며, 현장교육을 토대로 한 교육연구를 통하여 교육의 질 개선에 이바지한다.
대학원 특색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은 한국 교육의 미래를 이끌어 갈 이론과 실제적 능력을 겸비한 교육전문가 및 중핵교원을 양성하기 위하여, 교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교과교육의 이론 및 실제를 고양하며, 전체교수의 통합체제 운영과 다 학문적 협동수업을 통하여 교수·학습의 질을 높이고, 교육자치제 실시에 따른 현장교육의 구심적 역할을 담당할 전국 시·도의 지도적 중핵교원을 배출 하며, 교원교육에 관한 한국의 중추적 기관으로서 교원 교육의 체계화 및 시범화를 도모한다.
대학원 연혁
2021's ~
-
1
2024. 2. 22.제37회(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283명, 박사학위 40명
-
2
2023. 8. 22.제36회(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55명, 박사학위 25명
-
3
2023. 2. 21.제36회(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290명, 박사학위 36명
-
4
2022. 8. 23.제35회(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29명, 박사학위 17명
-
5
2022. 2. 22.제35회(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305명, 박사학위 37명
-
6
2021. 8. 24.제34회(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35명, 박사학위 27명
-
7
2021. 2. 23.제34회(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344명, 박사학위 28명
2011's ~
2020's
-
1
2020. 8. 20.제33회(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35명, 박사학위 26명
-
2
2020. 2. 20.제33회(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328명, 박사학위 54명
-
3
2019. 8. 22.제32회(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32명, 박사학위 33명
-
4
2019. 2. 21.제32회(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338명, 박사학위 39명
-
5
2018. 8. 23.제31회(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32명, 박사학위 34명
-
6
2018. 2. 22.제31회(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328명, 박사학위 45명
-
7
2017. 8. 23.제30회(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27명, 박사학위 15명
-
8
2017. 2. 22.제30회(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312명, 박사학위 36명
-
9
2016. 8. 24.제29회(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24명, 박사학위 16명
-
10
2016. 2. 23.제29회(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308명, 박사학위 21명
-
11
2015. 8. 26.제28회(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19명, 박사학위 20명
-
12
2015. 2. 24.제28회(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290명, 박사학위 31명
-
13
2014. 8. 27.제27회(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26명, 박사학위 16명
-
14
2014. 2. 21.제27회(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311명, 박사학위 29명
-
15
2013. 8. 23.제26회(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15명, 박사학위 18명
-
16
2013. 2. 22.제26회(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331명, 박사학위 42명
-
17
2012. 8. 24.제25회(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14명, 박사학위 27명
-
18
2012. 2. 22.제25회(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336명, 박사학위 32명
-
19
2011. 8. 26.제24회(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19명, 박사학위 12명
-
20
2011. 2. 22.제24회(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318명, 박사학위 24명
2001's ~
2010's
-
1
2010. 8. 26.제23회(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13명, 박사학위 13명
-
2
2010. 2. 22.제23회(전기) 학위(교육학)수여석사학위 331명, 박사학위 31명
-
3
2009. 8. 27.제22회(후기) 학위(교육학) 수여석사학위 21명, 박사학위 18명
-
4
2009. 2. 20.제22회(전기) 학위(교육학) 수여석사학위 321명, 박사학위 24명
-
5
2008. 8. 22.제21회(후기) 학위(교육학) 수여석사학위 20명, 박사학위 18명
-
6
2008. 2. 22.제21회(전기) 학위(교육학) 수여석사학위 331명, 박사학위 34명
-
7
2007. 8. 24.제20회(후기) 학위(교육학) 수여석사학위 20명, 박사학위 16명
-
8
2007. 2. 22.제20회(전기) 학위(교육학) 수여석사학위 328명, 박사학위 33명
-
9
2006. 8. 25.제19회(후기) 학위(교육학) 수여석사학위 12명, 박사학위 14명
-
10
2006. 2. 22.제19회(전기) 학위(교육학) 수여석사학위 352명, 박사학위 32명
-
11
2005. 8. 26.제18회(후기) 학위(교육학) 수여석사학위 18명, 박사학위 23명
-
12
2005. 2. 22.제18회(전기) 학위(교육학) 수여석사학위 327명, 박사학위 25명제3호 명예교육학 박사학위
-
13
2004. 10. 29.제2호 명예교육학 박사학위 수여
-
14
2004. 2. 18.제17회(전기) 학위(교육학) 수여석사학위 303명, 박사학위 29명
-
15
2003. 8. 29.제16회(후기) 학위(교육학) 수여석사학위 32명, 박사학위 20명
-
16
2003. 2. 21.제16회(전기) 학위(교육학) 수여석사학위 291명, 박사학위 27명
-
17
2002. 8. 23.제15회(후기) 학위(교육학) 수여석사학위 25명, 박사학위 16명
-
18
2002. 2. 22.제15회(전기) 학위(교육학) 수여석사학위 293명, 박사학위 32명
-
19
2001. 8. 24.제14회(후기) 학위(교육학) 수여석사학위 16명, 박사학위 17명
-
20
2001. 7. 26.학과신설 및 정원조정
- 석사과정 신설 : 교육정책대학원(입학정원 40명)
- 박사과정 신설 : 환경교육과, 미술교육과
- 박사과정 정원 조정 : 8명 증원
-
19
2001. 3. 2.신입생 입학441명 (석사과정 365명, 박사과정 76명)
-
21
2001. 2. 22.제 14회(전기) 학위(교육학) 수여석사학위 274명, 박사학위 30명
1991's ~
2000's
-
1
1999. 11. 19.정원조정입학정원 석사과정 385명, 박사과정 76명증원 : 석사 40명
-
2
1999. 2. 19.석·박사과정 전공 신설상담심리(교육학과)
-
3
1998. 12. 16.석·박사과정 전공 신설교육공학(교육학과), 공업교육(기술교육학과)
-
4
1998. 11. 17.석사과정 학과 신설 및 정원조정
- 학과신설 : (공통사회교육학과, 공통과학교육학과, 환경교육학과)
- 정원조정(입학정원) : 일반대학원(석사과정345명, 박사과정76명)
증원 : 석사 22명
-
5
1996. 8. 30.제9회 (후기)학위(교육학) 수여 : 석사학위 51명, 박사학위 10명
- 초등체육교육전공 및 학교보건교육을 초등체육교육전공(학교보건교육 포함)으로 통합(초등음악교육전공, 음악교육전공)
- 정원조정(입학정원) : 일반대학원 338명(석사과정 262명, 박사과정 76명)
-
6
1995. 10. 27.박사과정 학과신설 및 정원조정학과신설(4개학과 6개 전공) : 유아교육학과, 컴퓨터교육학과(초등컴퓨터교육, 컴퓨터교육), 기술교육학과(초등실과교육, 기술교육), 가정교육학과 114명)
-
7
1994. 10. 21.정원 조정(총정원 2,038명, 석사과정 1,936명, 박사과정 102명)
- 박사과정 증원 : 10명
- 석사과정 정원 조정 : 일반제 524명, 계절제 1,412명
-
8
1993. 9. 14.박사과정 학과 신설
- 박사과정 신설(1개학과 3개전공) : 체육교육학과(초등체육교육, 체육교육, 학교보건교육)
- 총정원 : 2,028명 (석사 : 1,936명(일반제 436명, 계절제 1,500명), 박사: 9개 학과 29개 전공 92명)
-
9
1992. 7. 30.석사과정 학과 신설(2개 학과 4개 전공)기술교육학과(초등실과교육, 기술교육)
-
10
1991. 10. 29.석·박사과정 전공 신설
- 석사과정 전공 신설(4개 전공) : 한문교육, 초등영어교육, 철학교육, 학교보건교육전공
- 박사과정 전공 신설 (3개 전공) : 한문교육, 초등영어교육, 철학교육전공
- 총정원 : 2,020명 (석사 : 15개 학과 37개 전공 1,936명, 박사 : 8개학과 26개 전공 84명)
1981's ~
1990's
-
1
1990. 11. 29.정원조정 석사과정일반제 436명, 계절제 1,500명
-
2
1988. 11. 30.석사과정 학과 신설총 15개 학과, 32개 전공 (정원 247명)신설학과(3개 학과)독어교육학과, 불어교육학과, 가정교육학과
-
3
1988. 11. 7.계절제(석사과정) 신설 및 정원조정
- 석사 과정 증원(계절제) : 1,689명
- 총정원 : 2,020명(석사과정:일반제 247명, 계절제 1,689명, 박사과정: 84명)
-
4
1988. 2. 15.제1회 학위(교육학) 수여
-
5
1987. 11. 9.박사과정 설치인가 및 석사과정 증과 증원
- 박사과정 설치인가
- 8개 학과 22개 전공 (정원 84명), 박사과정 : 교육학과(교육행정, 교육철학 및 교육사, 교육과정, 교육심리, 교육사회전공), 초등교육학과, 국어교육학과(초등국어교육, 국어교육전공), 영어교육학과, 국민윤리교육학과, 사회과교육학과(사회과교육, 일반사회교육, 지리교육, 역사교육전공), 수학교육학과(초등수학교육, 수학교육전공), 과학교육학과(과학교육, 물리교육, 화학교육, 생물교육, 지구과학교육전공)
- 석사과정 학과, 전공 신설 및 분리
- 총 12개 학과, 29개 전공 (정원156명)
- 신설 학과(6개 학과) : 초등교육학과, 유아교육학과, 영어교육학과, 음악교육학과, 미술교육학과, 체육교육학과
- 신설 전공(12개 전공) : 교육사회, 사회과교육, 지리교육, 역사교육, 과학교육, 지구과학교육, 음악교육, 초등음악교육, 미술교육, 초등미술교육, 체육교육, 초등체육교육
- 전공 분리 : 3개 전공을 6개 전공으로 분리(국어교육전공 →에서 다음으로 분리됨 국어교육전공, 초등국어교육전공, 국민윤리교육전공 →에서 다음으로 분리됨 초등도덕교육전공, 국민윤리교육전공, 수학교육전공 →에서 다음으로 분리됨 초등수학교육전공, 수학교육전공)
- 총 12개 학과, 29개 전공 (정원156명)
- 박사과정 설치인가
-
6
1987. 3. 3.신입생 입학석사과정 23명
-
7
1986. 3. 5.대학원 개설6개학과 11개 전공 (정원 60명) 석사과정 : 교육학과(교육과정, 교육철학 및 교육사, 교육행정, 초등교육전공), 국어교육학과, 사회과교육학과(일반사회교육전공), 수학교육학과, 과학교육학과(물리교육, 화학교육, 생물교육전공)신입생 입학석사과정 26명
-
8
1985. 11. 28.대학원 설치인가
-
9
1984. 3. 15.한국교원대학교 설치령(대통령령 제11382호) 공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