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수 상세보기

임수만
교수
- 전공
- 연락처 043-230-3578
- 이메일 limsm@knue.ac.kr
경력
-
2012.10. ~ 현재 : 한국교원대학교 , 부교수
-
2010.09. ~ 2012.09. : 한국교원대학교 , 조교수
-
2008.08. ~ 현재 : 청람어문교육학회 , 회원
-
2008.08. ~ 2010.08. : 한국교원대학교 , 전임강사
-
2007.03. ~ 2008.07. : 군산대학교 , 시간강사
-
2006.02. ~ 현재 : 국어국문학회 , 회원
-
2005.03. ~ 2008.07. : 서울대학교 , 시간강사
-
2003.03. ~ 2005.08. : 동양공업전문대학 , 강의전담교수
-
2000.09. ~ 2001.02. : 홍익대학교(조치원) , 시간강사
-
1999.03. ~ 2000.08. : 서울여자대학교 , 시간강사
-
1997.06. ~ 현재 : 한국시학회 , 회원
-
1996.12. ~ 현재 : 한국현대문학회 , 회원
-
1996.03. ~ 2003.02. : 동양공업전문대학 , 시간강사
학력
-
2004.08. : 서울대학교 , 박사 (대한민국)
-
1996.08. : 서울대학교 , 석사 (대한민국)
-
1992.08. : 서울대학교 , 학사 (대한민국)
연구
- 한국현대시 : 한국문학, 현대시, 문학교육
논문
-
2016.12. : 김관식론--도의 문학, 인유의 시학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6.08. : 서정주 문학과 신화적 사고 (한국현대문학회)
-
2015.12. : 김소월 시에 나타난 슬픔의 윤리와 미학 (한국현대문학회)
-
2015.06. : 정지용의 삶과 문학 (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14.12. : 베르그손의 삶과 사상에 대하여--직관과 감동을 중심으로 (한국교원대 인문과학연구소)
-
2014.12. : 한용운 시의 미학 연구--님의 침묵을 중심으로 (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14.09. : 백석 시에 나타난 영혼의 슬픔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3.12. : 청마 문학의 고독한 산책자 이미지 연구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3.10. : 엘리아데의 상징론 연구 (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)
-
2012.12. : 조지훈의 시와 시론 (한국교원대 인문과학연구소)
-
2012.12. : 김소월 시의 원본 문제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1.12. : 한국 개화기 시의 운율 연구 (한국교원대 인문과학연구소)
-
2010.12.31 : 金宗三 시의 윤리적 양상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10.12. : 윤재철론--능소화, 그 아련한 빛의 비밀 (시와 경계)
-
2010.06. : 바람 소리, 영의 울림 (시와 정신)
-
2009.12.31 : 백석 시의 ‘아름다움’과 ‘숭고’ (청람어문교육학회)
-
2009.12.30 : 백석 시에 나타난 공동체 윤리 (개신어문학회)
-
2009.02. : 부재하는 것을 보는 세 가지 방식 (시와 정신)
-
2009.01. : 고은 작품론--노란꽃, 붉은 열매, 그리고 흰눈, 허공의 춤 (유심)
-
2008.08.15 : 청마 유치환의 '고독'과 '생명'에의 열애 (한국시학회)
-
2008.04.30 : 윤동주 시의 실존적 양상--절망과 불안, 그리고 존재에의 용기 (한국현대문학회)
-
2008.03.31 : 최남선 문학에서 산의 의미 (한국현대작가학회)
-
2007.06.30 : 김영랑론--'심미적인 것'의 구조와 의미 (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)
-
2007.05.30 : 1920년대 데카당스 문학 연구 (국어국문학회)
-
2006.12. : 유치환 시론 연구 (20세기 한국시론1(도서출판 글누림))
-
2006.05.30 : 육당 최남선론 (국어국문학회)
-
2005.12. : 김기림의 문학사상 (지역학연구(대전대학교 지역협력연구원))
-
2003.08. : 근대의 반성과 생태주의 (20세기 한국시의 사적 조명(태학사))
-
2001.12. : 현대시의 언어유희와 웃음 (관악어문연구(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))
-
1999.07. : 김수영 문학의 양가성 (한국전후문학의 분석적 연구(월인))
저서/전시
-
2012.03. : 문학(1,2) (비상)
-
2006.04.28 : 우주와 역사의 접점 찾기 (역락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