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수 상세보기

이수진
교수
- 전공 수학교육학
- 연락처 043-230-3670
- 이메일 sjlee@knue.ac.kr
- 홈페이지 https://orcid.org/0000-0002-1436-6375
경력
-
2025.01.01 ~ 현재 : 한국교육과정평가원 , 연구윤리위원회 위원
-
2025.01.01 ~ 현재 :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(Elsevier) , Editorial Board Member
-
2024.09.19 ~ 현재 :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(Springer) , Editorial Board Member
-
2024.08.30 ~ 2026.08.29 : 대한수학교육학회 , 부회장(국제화 위원장)
-
2023.01.01 ~ 2026.12.31 : 대한수학교육학회 , <수학교육학연구> 편집위원장
-
2023.01.01 ~ 2024.12.31 : 한국수학교육학회 , 국내학술이사
-
2021.01.01 ~ 2022.12.31 : 한국수학교육학회 , 시리즈a<수학교육> 편집위원
-
2021.01.01 ~ 2026.12.31 : 국제수학교육 한국위원회(KS ICMI) , 위원
-
2020.04.01 ~ 현재 :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과 , 교수
-
2019.01. ~ 2022.12.31 : 대한수학교육학회 , <수학교육학연구> 편집위원
-
2018.10.31 ~ 2026.12.31 : 한국수학교육학회 , 시리즈C<초등수학교육> 편집위원
-
2018.08. ~ 2022.08.31 : 대한수학교육학회 , 국제이사
-
2018.05. ~ 현재 :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(Taylor & Francis) , Editorial Board Member
-
2018.00. ~ 2021.07.18 : 14th ICME, Shanghai, China , TSG 58 Co-chair
-
2017.08. ~ 2019.08. : 한국교원대학교 , 학과장, 대학원 전공주임, 수학교육연구소 소장, 수학영재교육 전공주임
-
2016.10. ~ 2018.10. : 한국수학교육학회 , 국제이사
-
2016.08. ~ 2018.08. : 대한수학교육학회 , 교사교육 분과이사
-
2015.04. ~ 2020.03.31 :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과 , 부교수
-
2013.09. ~ 2015.03. :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과 , 조교수
-
2013.00. ~ 2016.00. : 13th ICME, Hamburg, Germany , TSG45, Team Member
-
2010.09. ~ 2013.06. : Montclair State University, 수리과학과 수학교육 , 조교수
-
2007.01. ~ 2010.07. : The University of Georgia, 수학교육과 , Research Assistant
-
2005.01. ~ 2009.12. : The University of Georgia, 수학교육과 , Teaching Assistant
학력
-
2010.07. : The University of Georgia , 철학 박사(PhD) (미국)
-
2005.12. : The University of Georgia , 교육학 석사(MEd) (미국)
-
2003.03. :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, 이학사 (대한민국)
연구
- 피아제의 발생적 인식론 기반의 수학교육 연구 : 양적 추론; 단위 조정 이론; 비례 추론; 초등학교 중학교 수준의 수와 연산, 대수, 함수 연구; 전이 이론; 수학 주목하기(noticing);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; 수학 수업 연구, 교과서 연구 등
논문
-
2024.12.18 : Middle School Students' Proportional Reasoning at Different Stages of Units Coordination (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)
-
2024.11.30 : ‘제3차 수학교육 종합계획’에 대한 시도교육청의 계획과 실행 간의 연결성 (수학교육학연구)
-
2024.07.16 : Reasoning with two types of multiplicative units structures in solving middle-grade mathematics problems (Investigations in Mathematics Learning)
-
2024.06.30 : 근거이론에 의한 과학고등학교 기회균등전형 학생의 수학 학습 경험 연구 (학교수학)
-
2024.05.31 : 2023년 수학교육 정책사업의 성과와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: 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(수학교육학연구)
-
2024.03.31 : 등차수열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의 수학 주목하기 (수학교육 논문집)
-
2023.12.31 :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 세기 스킴에 대한 고찰 (학교수학)
-
2023.11.30 : 숨겨진 구조를 찾아서: 단위 조정 구조 모델 사례를 중심으로 (수학교육철학연구)
-
2023.11.30 : 초등학교 수학 교과의 원격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수학적 주목하기 (수학교육학연구)
-
2023.09.30 : 단위 조정 수준이 다른 중학교 2학년 세 명의 비례와 일차함수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 (학교수학)
-
2023.05.31 : 그래프의 형식적 정의와 항등함수에 대한 학생의 표현과 의미에 대한 연구 (학교수학)
-
2022.11.30 : ‘행위자 지향적’ 전이 관점에 대한 소고 (수학교육철학연구)
-
2022.08.31 : 단위 조정 단계가 다른 중학생의 이차함수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 (수학교육)
-
2022.06.30 : 한국과 싱가포르 수학교과서가 제공하는 분수 학습 기회 (청람수학교육연구)
-
2022.06.30 : radical constructivism and opportunity to learn mathematics (청람수학교육연구)
-
2022.02.28 : 단위 조정 3단계 학생의 비례 문제 해결에서 나타나는 분수 지식 (수학교육)
-
2021.08.31 : 수학교사의 대수식 쓰기 지도를 위한 발달에 핵심적인 이해 (수학교육)
-
2020.11.30 : 비 개념이 다른 두 중학생의 이차함수에 대한 양화 과정 (수학교육학연구)
-
2020.09.30 : Problem solving activities of tw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tinct levels of units coordination (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)
-
2020.08.31 : Middle-grade teachers' reasoning with fraction division tasks (수학교육학연구)
-
2020.07.31 : 수학교사가 원격연수에 대해 가지는 양가성에 대한 근거이론적 탐색 (교원교육)
-
2020.05.31 :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비례 추론과 공변 추론의 관계 비교 분석 (수학교육학연구)
-
2020.05.31 : 단위 조정 단계에 따른 학생의 비례 문제 해결 (수학교육학연구)
-
2019.11.30 : 중학생들의 분수 지식과 대수식 표현 사이의 관계 분석 (수학교육학연구)
-
2019.11.30 : 비정형 그래프에 대한 예비 중등 수학교사 세 명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의미 분석 (수학교육학연구)
-
2019.09.30 :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수업 과정에서 보여지는 수학적 주목하기 (학교수학)
-
2019.06.30 : 짝수와 홀수 개념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 (청람수학교육연구)
-
2019.06.30 : 학교수학과 대학수학 사이의 연계성에 대한 중등교사의 전문성 분석-대학수학에 대한 인식과 대수 영역에 대한 MKT 중심으로 (학교수학)
-
2019.06.30 : 학생의 변수 개념 구성 연구에 관한 고찰 (청람수학교육연구)
-
2019.05.31 : 비례 관계를 이용한 미지값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개념적 분석 (수학교육학연구)
-
2018.11.30 : 미래 시대의 수학교육 방향에 대한 연구 (수학교육학연구)
-
2018.09.30 : 과제대화록에 나타난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수학적 주목하기: 함수 그래프 그리기 지도 상황에서 (학교수학)
-
2018.09.01 : The alignment of student fraction learning with textbooks in Korea an (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)
-
2018.03. : Steffe의 분할 조작의 관점에 본 균등 분배 문제 해결 과정 분석과 그 적용 (학교수학)
-
2018.03. : 수업평가와 수업성찰에서 나타나는 예비 중등 수학 교사의 주목하기 (학교수학)
-
2018.02. : 중학교 기울기 개념에 대한 학습 경로와 그에 따른 한국 수학 교과서와 미국의 CMP 교과서 비교 (수학교육학연구)
-
2017.10. : 편지쓰기를 통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과제 변형 특징 (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)
-
2017.08. : 과재대화록 작성하기를 통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예상하기 특징 분석 (수학교육학연구)
-
2017.02. : 그래프 유형에 따른 두 공변 추론 수준 이론의 적용 및 비교 (수학교육학연구)
-
2016.12. : 지오지브라를 활용한 논증기하와 연결된 해석기하 수업자료 개발 및 적용 (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)
-
2016.09. : 중학생들의 함수와 그래프에 대한 이해와 발달 (학교수학)
-
2016.09. : 수업시연 기반 수학교과교육학 수업 모델 탐색 (교사교육연구)
-
2015.12. : 공변추론수준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번역활동에서 나타나는 특징 (청람수학교육연구)
-
2015.12. : 중등 수학교사의 과제 이해 및 변형 능력: 인지적 노력 중심으로 (대한수학교육학회 학교수학)
-
2015.06. : Theoretical discussion on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from constructivis (한국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연구)
-
2015.. : Distributive partitioning operation in mathematical situations involving fractional quantities (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 Education)
-
2014.12. : 지식과 신념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교사교육 연구에 주는 시사점 (청람수학교육연구)
-
2014.12. : A case study on a model refinement in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(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)
-
2013.09. :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’ th (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)
-
2012.00. : Reflections on U.S.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athematics education. (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)
-
2012.00. : Exploring teachers’ knowledge of partitive fraction division (Journal of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)
-
2012.00. : Modification of unit-segmenting schemes for division problems involving fraction (Journal of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)
-
2011.00. : Mathematics teachers’ reasoning about fractions and decimals using drawn represe (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)
-
2011.00. : Preservice teachers’ key developmental understandings (KDUs) for fraction multip (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)
저서/전시
-
2022.08.15 : 초등학교 수학 3-4학년군 수학 3, 4학년 2학기 교과서 (천재교육)
-
2022.03.01 : 초등학교 수학 3-4학년군 수학 3, 4학년 1학기 교과서 (천재교육)
-
2021.04.26 : Mathematics-connections and beyond Yearbook 2020 Association of Mathematics Educators (ch. 2 Reasoning with quantitative units in problem solving: a case of Juha) (World Scientific)
-
2019.12.19 : 학생의 분수 지식 수준 평가와 지도 (경문사)
-
2019.08.30 : 국제수학교육연구핸드북 (교우사)
-
2015.12. : 수학교사지식(한국수학교육학회 2015년 연보) (경문사)
-
2015.00. : 수학교육에서 증명 교수학습의 이론과 실제 (경문사)
-
2012.01. : 수학교육학신서 (교우사)
수상경력
-
2024.02.29 [한국교원대학교] 2023학년도 제2학기 강의평가 결과 최우수상
-
2023.08.29 [한국교원대학교] 2023학년도 제1학기 강의평가 결과 최우수상
-
2022.09.06 [한국교원대학교] 2022학년도 제1학기 강의평가 결과 최우수상
-
2022.02.22 [한국교원대학교] 2021학년도 제2학기 강의평가 결과 최우수상
-
2020.02.18 [한국교원대학교] 2019학년도 제2학기 강의평가 결과 최우수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