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교수 상세보기

김세영 교수 이미지
김세영 교수
  • 전공 교육과정
  • 연락처 043-230-3436
  • 이메일 shenge@knue.ac.kr

경력

  • 2025.01.01 ~ 현재 : 한국초등교육학회 , 학술위원장
  • 2024.01.01 ~ 현재 :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, 편집위원
  • 2023.01.01 ~ 현재 :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, 편집위원장
  • 2012.03.01 ~ 2022.02.28 : 한국교원대학교 , 시간강사 및 겸임교수
  • 2004.03.01 ~ 2022.02.28 : 안룡초 외 2곳 , 교사

학력

  • 2015.02.24 : 한국교원대학교 , 박사 (한국)
  • 2012.02.22 : 한국교원대학교 , 석사 (한국)
  • 2004.02.18 : 한국교원대학교 , 교육학사 (한국)

연구

  • 기초학력 전문교사 양성 기초연구 : 한국교원대
  • 세종교원 교육모델 개발 연구 : 세종시교육청교육원 정책연구소
  •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1~2학년군 국정도서(통합교과) 개발 : 교육부
  • 2022 개정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시안(최종안) 개발 연구 : 교육부
  • 초등 국정 교과용도서 현장적합성 검토 방식 개선 연구 : 교육부
  • 교원참여형 교육과정 평가 실행 모델 개발 연구Ⅱ : 국가교육회의
  • 경기도 혁신학교 교육과정 실천 양상 분석: 혁신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: 경기도교육연구원
  • 대학연합 세종교원 캠퍼스 구축·운영 방안 정책연구 :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
  • 학교­마을 연계 강화를 위한 단위학교 교육과정 거버넌스 구축 방안 : 경기도교육연구원

논문

  • 2024.11.30 : 여러 나라의 통합수업 이야기: 네덜란드와 핀란드를 중심으로 (통합교육과정연구)
  • 2024.09.30 : 교육과정현장네트워크를 통해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 탐구 (교육과정연구)
  • 2024.05.31 : 2022 개정 초등통합교과 교과서 분석: Dewey의 ‘하나의 경험’을 중심으로 (통합교육과정연구)
  • 2024.02.28 : Bildung 중심 Didaktik 관점으로 본 2022 개정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의 특성 탐색 (통합교육과정연구)
  • 2023.12.31 :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교사 공동체의 형성과 진화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: 교육과정현장네트워크를 중심으로 (교육과정연구)
  • 2023.08.31 : 교과서 개발자의 경험에 내재된 국정교과서의 개념 탐구 (통합교육과정연구)
  • 2023.06.30 : 공립형 대안고등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한 교사들의 이야기 (교육과정연구)
  • 2023.05.31 : 마을학교 운영에 관한 한 교사의 반성과 성찰 (통합교육과정연구)
  • 2022.11.30 : 2022 개정 초등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 개발 방향 탐구 (통합교육과정연구)
  • 2022.08.31 : 2022 개정 초등통합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 탐구 (통합교육과정연구)
  • 2021.11.30 :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에 관한 초등학교의 구현 양상 탐구 (통합교육과정연구)
  • 2021.09.30 : 교육과정 정책 형성 주체자로서 교사의 행위 탐구 (교육과정연구)
  • 2021.08.31 : 교사 중심의 국가교육과정 평가 정책 탐색 (초등교육연구)
  • 2021.06.30 : 지역교육과정 정책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: 시⋅도교육과정 편성⋅운영 지침을 중심으로 (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)
  • 2021.05.31 : 교육과정 개발 원천으로서 ‘공간’의 의미 탐색 (초등교육연구)
  • 2021.02.28 : 교육과정 외적 변화를 통해 본 통합교과 교육과정 구조의 변화 가능성 탐구 (통합교육과정연구)
  • 2020.12.31 :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관한 초등교사의 비판 양상 탐구 (교육과정연구)
  • 2020.11.30 : 예비교사의 인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탐구 (인격교육)
  • 2020.11.30 :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온-오프 병행 초등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사례연구 (초등교육연구)
  • 2020.09.30 : 학교교과목 개발 절차에 관한 사례 연구 (교육과정연구)
  • 2020.08.30 : 교사와 교육과정 이론과의 관계 탐구 (초등교육연구)
  • 2019.09.30 : 학교 중심의 교과 생성 연구에 관한 논의 (교육과정연구)
  • 2019.08.31 : 초등교육과정에서 교과 개념의 진화 가능성 탐색: 교실 수준에서의 접근 (통합교육과정연구)
  • 2019.08.31 : 초등교육과정 조직의 특이성 탐구 (초등교육연구)
  • 2019.06.30 : 초등교사와 중등교사의 교육과정 리터러시 탐구 (교육과정연구)
  • 2018.10.31 : 수업을 통해 교육과정을 연구한다는 것의 의미 (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)
  • 2017.09.30 : 국가교육과정 사용자로서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리터러시 탐구 (교육과정연구)
  • 2017.03.31 : 교과서의 대안적 모습 탐색 (통합교육과정연구)
  • 2017.03.31 : 교사의 교육과정 사용을 둘러싼 문제점과 그 해결책 (교육과정연구)
  • 2015.03.31 : Schwab의 실제적 접근 중심의 교육과정 연구방법 탐색 (교육과정연구)
  • 2014.06.25 :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이야기 (교육과정연구)
  • 2014.05.31 : 교사의 입장에서 본 초등 교과교육과정의 내용 구조 (초등교육연구)
  • 2013.12.25 : 교육과정 가능성의 개념 탐구 (교육과정연구)
  • 2013.09.25 : 교과서에 기초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(교육과정연구)
  • 2013.01.31 : 미국의 Core Knowledge Sequence를 통해 본 우리나라 국가수준 초등교육과정의 변화 가능성 탐색 (통합교육과정연구)

저서/전시

  • 2023.12.10 : 교육과정 연구방법론 (교육과학사)
  • 2022.12.20 : 통합교육과정으로 수업과 평가 엮기 (학지사)
  • 2022.07.17 : 학교 교과의 탄생과 변화 : 살아남은 교과, 사라진 교과 (기역)
  • 2021.06.15 : 꼬마시민을 기르는 통합교육과정 : 세상을 담는 수업 이야기 (살림터)

학회발표

  • 2024.08.31 : 여러 나라의 통합수업 이야기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
  • 2024.02.08 : 교육과정현장네트워크의 과거-현재-미래 교육과정현장네트워크